AWS 요금 계산기 사용방법 - EC2/S3/RDS 비용 추산
AWS는 비용을 사전에 쉽게 계산해볼 수 있도록 월별 비용 계산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계산기는 신, 구 두가지가 있는데,
신계산기는 조금 빠르지만 UI가 직관적이지는 않아서 나는 구 계산기를 사용하고 있다.
신규 서비스는 없는경우도 있지만,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서비스는 거의 다 있으니 사전에 비용검토하기에 아주 편하다.
신 계산기
AWS Pricing Calculator
calculator.aws
구 계산기
Amazon Web Services Simple Monthly Calculator
This Calculator provides an estimate of usage charges for AWS services based on certain information you provide. Monthly charges will be based on your actual usage of AWS services, and may vary from the estimates the Calculator has provided. Give us your f
calculator.s3.amazonaws.com
기본 세팅
회사에서 사용하는 경우 거의 프리티어가 아니기 때문에, 프리티어를 해제해주고 리전은 각자 사용중인 리전으로 선택하면 된다.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서비스 3개만 예시로 계산해 봤다.
ec2
사용량/률을 지정할 수 있으며 서버 유형과 결제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
예시
- 업무시간에만 사용할 개발서버 (주 45시간)
- 24/7 가동중인 운영서버 (사용률 100%)
- 각 서버에서 사용할 EBS(20G씩)

추가로 탄력적 IP, 트래픽 수도 지정하여 금액을 계산할 수 있다.
라이트한 서버비용은 I/F금액이 미미하기때문에 기본금액인 ec2 + ebs만 계산해도 되지만,
데이터 송수신이 많은 시스템의 경우엔 I/F 비용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놓쳐서는 안될 항목이다.

s3
총 스토리지 저장비용을 지정할 수 있으며, 트래픽을 지정해 비용 추산이 가능하다.
S3 스탠다드 외에 I/A, Glacier등의 비용추산도 가능하다.
예시
- 저장용량 100G
- API/SELECT 사용량 10만건

RDS
DB 유형, 자원유형, 스토리지량 입력하면 ok. 오로라도 추정가능하다.
예시
- Postgresql DB
- m5.large
- 100G 용량
- 데이터 I/F 20G씩


이런식으로 사용할 서비스를 기입하면 알아서 견적이 나오는 시스템이다.
견적은 상세항목도 나오기에 어떤부분에서 비용이 많이 소모될지도 파악할 수 있다.

사실 실제 서비스를 구성하면 VPC, 로그(Cloudwatch/Cloudtrail), Data Transfer, Backup 등으로 인한 비용도 적지않게 나온다.
그런부분도 추가해야 정확하겠지만 간단히 금액만 추산할때는 사용하기 좋은 서비스다.
비용계산 후엔 센스있게 데이터전송, 백업, 네트워크 등의 기타 요금은 배제하여 계산했고, 해당 금액은 별도다. 라고 공지하면 되겠다.